본문 바로가기
놓치면 안되는 정보

2025년 달라진 정책 총정리 – 꼭 알아야 할 변화들

by 가드킴 2025. 1. 30.

2025년을 맞이하며 우리 사회에는 다양한 정책 변화가 도입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특히 생활과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정책들을 정리해 보려고 해요.

초고령 사회 진입, 육아휴직 연장, 고교학점제 시행, 최저시급 인상, 미성년자 기준 연령 변경 등 중요한 변화들을 자세히 살펴볼게요.


1. 초고령 사회 진입 – 1000만 시니어 시대

2025년, 우리나라는 공식적으로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습니다. 이는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를 넘었음을 의미해요.

정부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합니다:

 

 

  • 기초연금 인상: 노령연금이 소폭 인상될 예정입니다.
  • 노인 근로소득 공제 확대: 기존 75세 이상이었던 공제 대상이 65세 이상으로 확대됩니다.
  • 고령자복지주택 3,000호 공급: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를 위한 주거 안정 정책이 강화됩니다.
  • 노인 평생교육 바우처 도입: 8,000명에게 연간 35만 원의 교육비가 지원됩니다.
  • 노인 일자리 110만 개 창출: 노년층의 경제활동 참여 기회를 늘릴 계획입니다.

 

정리: 초고령화 사회 대비 정책 변화

정책변경 사항

기초연금 소폭 인상
근로소득 공제 75세 이상 → 65세 이상으로 확대
고령자복지주택 3,000호 공급
평생교육 바우처 연간 35만 원 지원 (8,000명 대상)
노인 일자리 110만 개 신규 창출

2. 육아휴직 1년 6개월로 연장 – 부모의 육아 부담 줄이기

 

출산과 육아 지원을 강화하는 정책도 시행됩니다. 가장 큰 변화는 육아휴직 기간이 기존 1년에서 1년 6개월로 연장된 점인데요.

  • 육아휴직 급여 인상
    • 1~3개월: 월 250만 원 지급
    • 4~6개월: 월 200만 원 지급
    • 7개월 이후: 월 160만 원 지급
  • 배우자 출산휴가 확대: 기존 10일 → 20일로 연장
  • 육아휴직 급여 지급 방식 변경: 기존에는 일부가 복직 후 지급되었으나, 이제는 육아휴직 중 100% 지급됩니다.

 

정리: 육아휴직 및 출산휴가 정책 변화

정책 변경 전 변경 후
육아휴직 기간 1년 1년 6개월
육아휴직 급여 최대 150만 원 최대 250만 원
배우자 출산휴가 10일 20일
급여 지급 방식 일부 복직 후 지급 육아휴직 중 100% 지급

 

3. 고교학점제 시행 – 학생 맞춤형 교육 강화

 

 

2025년부터 전국 고등학교에서 고교학점제가 본격적으로 도입됩니다. 학생들은 기존처럼 정해진 과목을 수강하는 것이 아니라, 대학교처럼 자신이 원하는 과목을 선택하고 학점을 이수해야 합니다.

  • 졸업 요건: 기존 출석 일수 기준 → 학점제 (192학점 필요)
  • 맞춤형 교육 가능: 학생 개개인의 진로와 적성에 맞는 과목 선택 가능

 

정리: 고교학점제 핵심 변화

항목 기존 변경 후
수업 방식 일괄 수업 선택형 수업
졸업 기준 출석 일수 학점제 (192학점)

4. 최저시급 1만 원 시대 – 근로자의 권익 강화

 

2025년 1월 1일부터 최저시급이 시간당 10,030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이는 2024년 대비 1.7% 상승한 금액입니다.

  • 적용 대상: 정규직, 비정규직, 아르바이트, 청소년, 외국인 근로자 포함
  • 기초생활보장 기준 중위소득 인상 (4인 가구 기준 6.42% 상승 → 609만 7773원)

 

정리: 최저시급 및 소득 기준 변화

항목 2024년 2025년
최저시급 9,860원 10,030원
기준 중위소득(4인 가구) 573만 3552원 609만 7773원

 

5. 미성년자 기준 연령 조정 – 성인 기준 변화

 

2025년부터 법적 미성년자의 기준 연령이 기존 만 19세 → 만 18세로 변경되었습니다.

 

  • 법적 계약 가능 연령 조정: 만 18세 이상은 보호자 동의 없이 법적 계약 체결 가능
  • SNS 미성년자 보호 정책 강화: 만 18세 미만 사용자의 SNS 계정이 기본 비공개 설정됨

 

정리: 미성년자 관련 주요 변화

항목 기존 변경 후
법적 성인 기준 만 19세 만 18세
법적 계약 가능 연령 만 19세 이상 만 18세 이상
SNS 보호 조치 일부 제한 기본 비공개 설정

🌟 마무리하며

2025년, 우리 사회에는 다양한 정책 변화가 이루어졌습니다. 이러한 사회문제들이 없었어야 하지만, 지금은 대책을 고려할 수 밖에 없는 상황 아닌가 싶습니다.

초고령화 시대, 저출산 문제 해결, 교육 개혁, 근로환경 개선 등 중요한 변화들이 시행되었는데요. 이러한 정책을 이해하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로써 이러한 사회문제가 조금이나마 개선이 되기를 바랍니다.